본문 바로가기

여행

인천 대이작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하는 섬.

 

인천 대이작도

 

인천 대이작도 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대한민국 문화 대백과사전

경기만 다도해를 구성하는 도서 중 하나로, 면적 2.571㎢, 해안선 길이 11.8㎞이다. 서쪽으로 0.2㎞ 거리에 소이작도가 있고, 동북쪽으로는 1㎞ 떨어진 곳에 승봉도가 있다.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가파른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최고봉은 188m의 속리산이고, 그 밖에 부 아령산(160m), 당산(96m) 등이 있다.

 

신 증 동국여지승람에 “이즉도(伊則島)는 독 갑도 동쪽에 있으며 주위가 35리이고 목장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대이작도와 소이작도를 합쳐 이즉(伊則)이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남양 읍지(南陽邑誌)에는 이작(伊作)으로 표기하고 있다. 고려사 변광수 전(邊光秀傳)에는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 왜구들이 이 섬을 점거하고 삼남지방에서 올라오는 세곡선을 약탈하던 근거지라 하여 이적(夷賊) 또는 이적(二賊)이라 불렀다.

 

대이작도는 풍광이 아름답고 다양한 해안 서식지와 자연해안의 형태가 비교적 잘 남아 있는 자연성이 높은 섬이다. 해안에는 사빈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데 섬의 규모에 비해 큰 풀 안·계남리·풀치·목장불 등의 해수욕장이 많은 편이다. 이 중 풀치 해수욕장은 동서 4㎞, 남북 1㎞에 걸친 약 70만 평의 백사장이 장관을 이룬다. 모래가 깨끗하고 피서철에도 크게 붐비지 않아 가족 단위의 여행지로 적합하다.

주변 해역의 조석은 반일 주조로 평균 조차는 491.1㎝이다. 이작도(대이작도와 소이작도)를 중심으로 크게 동수도와 서수도에서 왕복성 조류가 나타나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서수도에서 유속도 강하며 와류도 심하게 나타나는 지역이 있다.

이작도 주변해역의 표층퇴적물은 6개의 퇴적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안을 제외하고는 0.25mm 이상의 조립질 모래가 대부분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작도 남부에는 하벌천퇴가 있으며, 분급이 양호한 모래가 우세하게 분포한다.

 

대이작도 연안지역에서는 해사 준설이 이뤄지고 있다. 대이작도의 남쪽에 해사 준설지역이 있으며 준설지역과 섬 사이에 대이작도로부터 약 1㎞ 떨어진 곳에 하벌천퇴라고 하는 삼각형의 사퇴가 발달되어 있다. 이 사퇴는 간조 시 그 일부가 노출되는데 경기만의 이러한 곳은 주로 골재(모래) 채취가 이루어지는 해역이다.

하벌천퇴는 이작도 주변해역이 동수도와 서수도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밀물시 외해에서 이동되어온 모래가 이작도 남부 해역에 퇴적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작도 북부 해역에는 펄 성분이 남부해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썰물시 인천 부근 해역에서 이동되어온 펄 성분이 주로 북부 해역에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대이작도의 인구는 2002에는 세대수와 인구수는 74세대, 166명이며 1994년보다 9세대 및 32명이 늘었다. 농업 세대는 47세대에서 39세대로 줄었으며, 어업 세대수는 14세대에서 19세대로 늘었다. 주민의 대부분은 반농반어로 밭농사와 연안수역에서 어업을 주로 하고 있어, 전업 어민은 많지 않다.

마을어업은 섬의 주변에서 11㏊의 면적이며, 주로 전복, 해삼을 대상으로 한다. 양식어업은 피조개와 굴, 전복, 다시마, 바지락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제1종 양식, 제2종 양식, 패류양식, 복합양식, 해조류 양식 등 10건이 있다. 35.97㏊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어촌계에서 관리하고 있다.

 

 

섬 트레킹 코스

 

1. 부아산 코스 : 3.5 km ( 1시간 30분 소요 )

   -. 선착장 - 큰 마을 - 오 형제바위 - 부아산 - 구름다리 - 천국의 문 - 삼신할미 약수터 - 장골마을

2. 섬마을 갯 티길 코스 : 4 km ( 1시간 30분 소요 )

  -. 장골마을 생태 체험관 - 작은 풀 안 해변 - 큰 풀 안 해 변 - 뛰 넘어 해변 - 계남분교

3. 송이산 갯 티길 : 3.3 km ( 1시간 20분 소요 )

  -. 송이산 - 장골 부리 - 장골 습지 - 말목장터 - 장골마을 장승공원

4. 대이작도 전체 둘레길 : 11.2  km ( 5~6 시간 소요 )

  -. 선착장 - 오 형제 바위 - 부아산 - 장골마을 - 작은 풀 안 해변 - 큰 풀 안 해변 - 계남마을 - 송이산 - 장골마을 - 선착장

 

풀등 가는 방법

대이작도 명물은 신비의 모래선 "풀등"이다.

풀등은 조류라는 씨실과 시간이라는 날실이 빚어낸 자연의 거대한 예술품이다.

한강, 임진강, 예성강 하구로부터 퇴적된 모래가 바람과 파도, 조류에 밀려 수천 년을 두고 경기만 일대에 거대한 사준 군을 형성시켰다. 이러한 경기만 사주 군의 읿로 간조 시에 가장 크게 드러나다고 한다.

풀등 탐방은 대이작 바다생태마을 운영위원회( 010-9019-1224 , 10.000 원/1인 )에서 주관한다.

풀등은 하루 두 번 모습을 드러내지만 탐방은 하절기/동절기, 일출/일몰을 고려하여 진행된다.

풀등에 가려면 대이작도 가기 전 미리 전화하여 탐방 여부를 확인하는 게 좋다.

 

가는 방법

 

대이작도를 가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인천 연안부두를 이용하거나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을 이용하는 것이다.

주말이나 성수기에는 인천 연안 섬을 찾는 사람들이 많으므로 예약이 필수다.

 

 인천 연안여객선 터미널 (인천 중구 항동 연안부두로 70 )

 -. 고려 고속페리 : 1시간 35분 소요 / 요금 편도 21,000 원

 -. 대부해운 : 2시간 10분 소요 / 요금편도 13,200 원

 -. 주차비 : 10,000 원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황금로 1567-3 )

 -. 주차비 : 무료

 

즐거운 여행을 통해 세상과의 인연을 만들어 보세요.

 

감사합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무의도  (3) 2022.07.06
인천 장봉도  (1) 2022.07.06
인천 자월도  (3) 2022.07.06
인천 승봉도  (2) 2022.07.06
제주도 한라산 1100고지 생태습지 탐방  (1) 202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