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휴양의 섬 _ 통영 욕지도 욕지도의 개요 및 소개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에 위치한 섬으로 이름에서 볼 수 있듯 욕지면의 중심이 되는 섬이자 가장 큰 섬이며 대한민국에서 36번째로 큰 섬이다. 섬 면적은 12.619 ㎢, 주민 수는 2,049명이다.본섬 욕지도 외에도 우도, 연화도, 두미도 등 유인도 9곳과 무인도 40여 곳 등 부속도서 40여 곳이 있다. 예전에는 녹도라고도 불리었으며 욕지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등장하게 된것은 조선시대 때로 조선 초기에는 욕질도라고 하였으나 이후 욕지도로 이름이 변했다.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100여 년 전에 한 노승이 시자승을 데리고 연화도의 상봉에 올랐는데, 시자승이 도道를 묻자 "욕지도 관세존도(欲知島觀世尊島)."라고 말하며 이 섬을 가리킨 데에서 '욕지도'란 지명이 유래했다고 한다... 더보기 인천 영흥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에 속하는 섬. 인천 영흥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대한 인천에서 남서쪽 23.7㎞ 떨어져 있으며, 동쪽으로 1.2㎞ 지점에 선재도가 있다. 면적 23.46㎢, 해안선 길이 42.2㎞, 영흥면의 인구는 1,864명(1994년 당시)에서 4,436명(2008년 현재)으로 대폭적으로 증가하였다. 옛날 중국에서 오던 배가 풍랑을 만나 암초에 부딪혀 파손되어 침몰 직전에 있었는데, 거북이 한 마리가 나타나 구멍을 막아 육지로 인도해주었다. 그 뒤 신령이 도와준 섬이라 하여 영흥도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섬 중앙의 최고봉인 국사봉(國思峯, 128m)을 제외하면 대체로 저평한 지형이며, 해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발달하고 곳곳에 사빈 해안이 나타난다. 1월.. 더보기 인천 무의도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섬_무의도 인천 영종도와 연결된 무의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무의도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섬이다. 과거에는 배를 타야만 갈 수 있었으나, 2019년 무의 대교가 개통되면서 차량 접근이 가능해졌다. 다만 다리 개통 이후 교통량이 10배 가까이 늘면서 2019년 7월 29일까지 주말과 공휴일 무의도 입도 차량을 900대로 제한한다. 무의도 주변에는 실미도, 소무의도 등의 섬이 있는데 연륙교가 연결되어 있어(광명항 선착장에서 소무의도) 도보로 10분~15분이면 소무의도에 갈 수 있다. 큰 무리 선착장에서 광명항까지는 무의도 마을버스로 이동할 수 있다. 소무의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무의바다누리길 8코스를 걸어야 한다. 1시간 정도.. 더보기 인천 장봉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에 있는 섬. ‘갯티’란 경기 해안가에서 사용하던 말로 바닷물이 드나드는 터를 일컫는다.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지역에서는 밀물 때 잠기고 썰물 때 드러나는 갯터가 곧 ‘갯티’인 셈이다. 장봉도(長峰島)는 이름대로 모습이 길쭉한 데다 봉우리가 많은 섬이다. 섬 등을 타고 산줄기가 이어지며, 사계절 적지 않은 여행객이 이곳을 찾는다. 섬이 가진 수려한 자연 속을 걷기 위함이다. 총 7개 코스의 ‘장봉도 갯 티길’은 산과 해안을 아우르며 이어진다. 출처 : 대한민국 문화 대백과사전 인천에서 서북쪽으로 22.6㎞ 지점에 있다. 동쪽 10.3㎞ 지점에는 시도(矢島)가 있다. 면적은 7.15㎢이고, 해안선 길이는 22.5㎞이다. 장봉도는 섬이 길고 봉우리가 많아 부르게 된 지명이라고 .. 더보기 인천 대이작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하는 섬. 인천 대이작도 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대한민국 문화 대백과사전 경기만 다도해를 구성하는 도서 중 하나로, 면적 2.571㎢, 해안선 길이 11.8㎞이다. 서쪽으로 0.2㎞ 거리에 소이작도가 있고, 동북쪽으로는 1㎞ 떨어진 곳에 승봉도가 있다.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가파른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최고봉은 188m의 속리산이고, 그 밖에 부 아령산(160m), 당산(96m) 등이 있다. 신 증 동국여지승람에 “이즉도(伊則島)는 독 갑도 동쪽에 있으며 주위가 35리이고 목장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대이작도와 소이작도를 합쳐 이즉(伊則)이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남양 읍지(南陽邑誌)에는 이작(伊作)으로 표기하고 있다. 고려사 변.. 더보기 인천 자월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있는 섬. 자월도 소개 및 유래를 찾아보니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인천에서 서남쪽으로 35㎞ 지점에 있다. 주변에는 소이작도·대이작도·승봉도 등이 있다. 면적은 7.26㎢이고, 해안선 길이는 20.4㎞이다. 지명은 인조 때 관가에 근무하던 사람이 귀양살이를 와서 첫날밤 보름달을 보고 억울함을 호소하였더니, 달이 붉어지며 바람이 일고 폭풍우가 몰아쳐 하늘도 자기의 억울함을 알아준다 하여, 이곳의 이름을 달이 붉어졌다는 뜻의 자월도라 지었다고 한다. 섬의 모양은 동서로 길게 뻗은 형태이다. 국사봉(國思峰, 166m)을 중심으로 낮은 구릉 성산 지를 이룬다. 북사면은 비교적 급경사인 반면 남사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농경지와 취락이 분포한다. 해안에는 소.. 더보기 인천 승봉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에 있는 섬. 승봉도의 소개 및 유래를 찾아보면 하기와 같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39.8㎞ 지점에 있다. 면적은 6.39㎢이고, 해안선 길이는 9.5㎞이다. 북쪽으로는 자월도, 서쪽으로는 대이작도를 마주한다. 지형이 마치 봉황새의 머리 모양 같다 하여 승봉도라 부른다. 또 섬의 평지를 신 씨(申氏)와 황 씨(黃氏)가 농경지로 개척했다고 하여 신황도(申黃島)로도 불렸다고 전한다. 지형은 100m 이하의 낮은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분지가 발달하여 농경지로 이용된다. 동쪽에 높은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낮아지다가 해안에서 다시 구릉성 산지가 나타난다. 해안은 낮은 단애와 사빈이 발달하였고, 연안의 수심은 1∼.. 더보기 제주도 한라산 1100고지 생태습지 탐방 대한민국의 이국적인 정취와 낭만을 꿈꾸게 하는 섬. 제주도 그 섬의 중심에는 한라산 ( 높이 : 1,947 M ) 이 있습니다. 한라산 1100 고지 습지 탐방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주도 하면 한라산이 대표적인 상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한 한라산을 등산 목적으로 방문하지 않은 이상 접근할 수 없지만, 한라산 정상에 올라가지는 못해도 최대한 가까이 차로 갈 수 있는 장소입니다. 1100 고지에 차로 진입이 가능한 휴게소가 있습니다. 한라산 고지대의 신선한 공기와 신비로움에 대해 부분이나마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1100 고지 습지의 유래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중문동과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일대의 소택지. 개설 제주 1100 고지 습지는 멸종위기종 및 희귀..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